고려 왕조는 918년 왕건에 의해 건국되어 1392년 이성계에 의해 막을 내리기까지 약 474년간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입니다. 통일신라 말기에 송악(현 개성) 지역의 호족이었던 왕건은 918년에 고려를 세우고, 이듬해인 919년 송악을 개경으로 이름을 바꾸어 수도로 삼았습니다. 이후 935년 신라를, 936년에는 후백제를 차례로 병합하여 삼한일통을 이루었습니다. 고려 초기의 광종은 황권 강화와 중앙 집권 체제 확립을 위해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를 실시하고 공신과 호족 세력을 숙청하였습니다. 이어 경종 때 전시과 제도를 도입하고, 성종은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지배 체제를 정비했습니다. 수도 개경의 외항인 벽란도에서는 송, 일본, 아바스 칼리파국 등 여러 나라와 활발하게 무역을 하였습니다. 국제 관계에서는 거란족의 요나라, 여진족의 금나라 등 유목 제국과의 대립 속에서 동아시아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2세기에 들어서면서 문벌 귀족과 측근 세력 간의 다툼이 심화되어 무신정변이 발생했으며, 최충헌을 비롯한 최씨 일가의 무신 정권이 장기간 집권했습니다. 이 시기 무신들의 폭정과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고려의 국력은 크게 쇠퇴했습니다. 국력이 약해진 상황에서 13세기에는 몽골 제국의 침입을 받았습니다. 고려는 강화도로 수도를 옮겨 약 30년간 항쟁했으나, 국토가 황폐화되고 결국 몽골의 부마국으로 전락하면서 국운이 기울었습니다. 이후 공민왕의 개혁이 실패하고 내우외환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고려는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이성계는 1392년 공양왕을 폐위시키면서 사실상 고려를 멸망시키고 새로운 왕조를 열었습니다. 1393년에 국호를 조선으로 바꾸면서 고려는 완전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