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1392년 이성계에 의해 건국되어 1897년 대한제국이 세워질 때까지 약 5백 년간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입니다. 수도는 지금의 서울인 한양이었으며,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삼았습니다. 나라는 유교의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아 사대부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로 운영되었습니다. 왕은 전제군주였으나 실제로는 양반 관료들과 협력하여 국정을 이끌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초기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이 있었고, 이후 사림이 주도하며 여러 파벌로 나뉘어 경쟁하는 붕당 정치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성리학 학풍과도 연관되어 예송논쟁이나 호락논쟁 같은 논쟁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19세기에는 세도 정치가 등장하며 붕당 정치가 쇠퇴했습니다. 군사 제도는 초기 오위 체계에서 임진왜란을 거치며 중앙의 오군영과 지방의 속오군 체제로 변화했으며, 비변사가 정치 기구로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양반의 병역 기피 등으로 군역 제도가 문란해져 국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경제는 농업을 중시했으며, 화폐보다는 현물 거래가 많았습니다. 상업은 초기 독점 상인이 주도했으나, 후기에는 자유로운 상업 활동과 민간 수공업이 발달하고 정기 시장(오일장)이 형성되는 등 변화를 겪었습니다. 교통은 강과 바다를 이용한 수운과 육지의 역참, 도로가 발달했습니다. 신분 제도는 법적으로는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되었으나, 실제로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습니다. 문화적으로는 이웃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독창적인 발전을 이루어, 오늘날 한국 전통문화의 기반이 되는 한옥, 한복, 한식 등이 조선 후기에 완성되었습니다. 조선은 긴 역사 동안 국내외의 변화를 겪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였으며, 학계에서는 이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연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