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공화국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약 11개월간 존속했던 우리나라의 두 번째 헌정 체제입니다. 4·19 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무너진 후 과도기를 거쳐 6·15 개헌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우리나라 역사상 유일하게 국무총리가 실권을 갖고 대통령은 상징적인 국가원수인 의원내각제와 국회 양원제를 채택했습니다. 장면이 국무총리, 윤보선이 대통령을 맡았습니다. 제2공화국은 자유민주주의 이념 하에 사회 개혁과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집권당인 민주당 내 신파와 구파 간의 심각한 파벌 갈등으로 정치가 불안정했고, 잦은 내각 교체와 4·19 혁명으로 높아진 국민적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는 등 정치적 리더십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결국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 속에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소장이 이끄는 군사 세력이 5.16 군사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면서 제2공화국은 막을 내리고 군사 통치 시대로 전환되었습니다.